코딩과로그
TIL > 시스템 모니터링 본문
uname : 시스템과 커널의 정보
시스템과 커널 정보, 하드웨어, 운영체제 등을 알 수 있음
$ uname
=> Linux
$ uname -a
=> Linux com 5.15.0-67-generic #74~20.04.1-Ubuntu SMP Wed Feb 22 14:52:34 UTC 2023 x86_64 x86_64 x86_64 GNU/Linux
top : 운영체제 작업 내역 모니터링
# 이하 top 명령어를 통해 얻어온 정보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
# 현재 시각 - 경과시간 - 유저수, 각 시간별 cpu 사용량 (%)
top - 15:38:41 up 17:34, 1 user, load average: 3.31, 3.74, 3.47
# Task 수, Task 별 상태
Tasks: 375 total, 2 running, 373 sleeping, 0 stopped, 0 zombie
# us => 프로세스 유저 영역에서 사용률
# sy => 프로세스 커널 영역에서 사용률
%Cpu(s): 24.1 us, 5.4 sy, 0.0 ni, 70.0 id, 0.4 wa, 0.0 hi, 0.1 si, 0.0 st
# 메모리 사용량
# buff => 커널 버퍼에서 사용되는 메모리
# cache => Disk의 페이지 캐시
# => 즉 I/O 와 관련되서 사용되는 버퍼 메모리임. 이를 통해 I/O를 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음.
MiB Mem : 15849.4 total, 1344.3 free, 6717.7 used, 7787.4 buff/cache
# swap 메모리 사용량
MiB Swap: 2048.0 total, 2048.0 free, 0.0 used. 6843.0 avail Mem
# PID = 프로세스 ID
# USER = 프로세스를 실행 혹은 효과를 받는 USER name.
# PR = 우선순위
# NI = PR에 영향을 주는 nice값
#
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%CPU %MEM TIME+ COMMAND
118830 sori 20 0 1130.1g 481560 174556 S 88.0 3.0 316:10.92 chrome
103818 sori 20 0 53.3g 592240 307180 S 25.2 3.6 126:46.47 Discord
ifconfig : 네트워크 기본 모니터링
❯ ifconfig
enx00e04d69887d: flags=4163<UP,BROADCAST,RUNNING,MULTICAST> mtu 1500
# ipv4
inet 192.168.35.248 netmask 255.255.255.0 broadcast 192.168.35.255
# ipv6
inet6 fe80::fbe3:8eb8:ff0e:32d5 prefixlen 64 scopeid 0x20<link>
#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주소
ether 00:e0:4d:69:88:7d txqueuelen 1000 (Ethernet)
# 주고받은 패킷 관련 정보
RX packets 10965102 bytes 5830892467 (5.8 GB)
RX errors 0 dropped 76828 overruns 0 frame 0
TX packets 4232808 bytes 1416365601 (1.4 GB)
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
lsof : 열린 파일 목록 출력
현재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사용중인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.
보통 디바이스를 언마운트에 실패할 경우 특정 프로그램이 폴더를 사용중이기 때문인데 이 때에 어떤 프로그램이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지 찾을 때 사용할 수 있다.
3000번대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도 있다.
pwdx: 프로세스의 id 에 해당하는 시작위치 확인
pwdx 프로세스_id
netstat :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
라우팅 테이블 및 IP, 인터페이스 등을 확인할 수 있다.
# 서버 포트를 4443, 5501 을 열었다.
$ npm run runserver
Server is running on port 4443.
Server is running on port 5501.
# 4443, 5501 포트가 사용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$ netstat -ant | awk 'NR<=2 || /4443|5501/'
Active Internet connections (servers and established)
Proto Recv-Q Send-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
tcp6 0 0 :::4443 :::* LISTEN
tcp6 0 0 :::5501 :::* LISTEN
htop : top 와 유사한 작업 내역 모니터링
보다 가독성 / 유틸이 추가되었음.
'Devops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 > HTTP (0) | 2023.03.16 |
---|---|
TIL > URL과 URI (0) | 2023.03.15 |
TIL > 프로세스, 서비스, 자동화 (0) | 2023.03.13 |
TIL > 리눅스 관련 (입출력, 관리자 권한 등) (0) | 2023.03.10 |
TIL>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(0) | 2023.03.09 |